티스토리 뷰

목차



     일용직 근로자도 소득이 있다면 소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소득세가 얼마인지? 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어렵기만한 세금 자세히 확인하겠습니다.

     

    2025년부터 변경되는 일용직 소득세 및 갑근세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이 글을 통해 일당, 근로소득 공제, 세율, 원천징수 방식 등을 이해하고, 쉽게 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란?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일용직 근로자란?

     

    일용직 근로자란 고용 계약이 단기적이며, 하루 단위로 임금을 받는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정규직과 달리 고용 관계가 지속되지 않고, 일정 기간 또는 특정 작업이 끝나면 근로관계가 종료됩니다.

     

     

    특징:

    • 근로 기간이 1개월 미만
    • 매일 또는 특정한 날에 임금을 지급받음
    • 4대 보험 가입이 필수는 아님 (일정 조건 충족 시 가입 가능)

     

     

    일용직 소득세란? 3.3%

     

    일용직 소득세는 일용직 근로자가 번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일용직 근로자는 일반 근로자와 다르게 매월 연말정산을 하지 않으며, 고용주(사업자)가 원천징수하여 세금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2025년 일용직 소득세 주요 변경 사항

    • 일당 비과세 기준: 160,000원 (2024년: 150,000원)
    • 소득세율 유지: 총 6.6% (소득세 3.3% + 지방소득세 3.3%)
    • 근로소득 공제: 총 급여의 55% 공제 유지

     

     

     

     

     

     


    일용직 소득세 계산 공식

     

     

     

     

    일용직 소득세 계산 공식 (2025년 기준)

     

    단계 계산 항목 계산식
    총 급여액 계산 총 급여액 일당 × 근무일수
    근로소득 공제 계산 근로소득 공제 총 급여액 × 55%
    과세표준 계산 과세표준 총 급여액 - 근로소득 공제
    소득세 계산 소득세 과세표준 × 3.3%
    지방소득세 계산 지방소득세 소득세 × 10%
    총 소득세 부담액 총 소득세 소득세 + 지방소득세

     

     

     

     

     

     

    일용직 소득세 계산 예시

     

    ✅ 예제 1: 하루 일당 170,000원, 22일 근무

     

    항목  계산식  결과(원)
    총 급여액 170,000 × 22 3,740,000
    근로소득 공제 (55%) 3,740,000 × 55% 2,057,000
    과세표준 3,740,000 - 2,057,000 1,683,000
    소득세 (3.3%) 1,683,000 × 3.3% 55,539
    지방소득세 (10%) 55,539 × 10% 5,553
    총 소득세 부담 - 61,092

     

    따라서,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세 부담액은 61,092원입니다.

     

     

     

     

    ✅ 예제 2: 하루 일당 200,000원, 25일 근무

     

    항목  계산식   결과(원)
    총 급여액 200,000 × 25 5,000,000
    근로소득 공제 (55%) 5,000,000 × 55% 2,750,000
    과세표준 5,000,000 - 2,750,000 2,250,000
    소득세 (3.3%) 2,250,000 × 3.3% 74,250
    지방소득세 (10%) 74,250 × 10% 7,425
    총 소득세 부담 - 81,675

     

    총 소득세 부담액은 81,675원입니다.

     

     

     

     

     

     


    갑근세란? (일용직 소득세 원천징수 개념)

     

     

     

    ✅ 갑근세란?

     

    '갑근세'란 사업자가 근로자 대신 원천징수하여 납부하는 소득세를 의미합니다. 즉, 일용직 근로자가 급여를 받을 때 소득세 3.3% + 지방소득세 3.3%가 자동으로 공제된 후 지급됩니다.

     

     

     

     

    ✅ 갑근세 계산 공식

     

    • 소득세 = 과세표준 × 3.3%
    • 지방소득세 = 소득세 × 10%
    • 총 갑근세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갑근세 계산 예시

     

    일당 180,000원, 21일 근무

     

    항목 계산식 결과(원)
    총 급여액 180,000 × 21 3,780,000
    근로소득 공제 (55%) 3,780,000 × 55% 2,079,000
    과세표준 3,780,000 - 2,079,000 1,701,000
    소득세 (3.3%) 1,701,000 × 3.3% 56,133
    지방소득세 (10%) 56,133 × 10% 5,613
    총 갑근세 - 61,746

     

     

     따라서 해당 월의 갑근세는 61,746원입니다.

     

     

     

     

     

     


    일용직 소득세 신고 및 납부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 소득세 신고 및 납부 절차

    • 고용주(사업자)가 매월 원천징수하여 국세청에 신고 및 납부
    • 납부 시기: 매월 다음 달 10일까지
    • 가산세 유의: 미납 시 3%의 가산세 부과

     

     

    ✅ 비과세 항목 확인

    • 식대: 월 200,000원까지 비과세
    • 교통비: 현금 지급 시 과세, 교통카드 충전 시 비과세
    • 휴가비: 일정 조건 충족 시 비과세

     

     

    ✅ 연말정산 여부

    •  일용직 근로자는 연말정산 대상 아님 (고용주가 원천징수 완료)
    •  단,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연소득 5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필요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로 쉽게 관리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일용직 소득세 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 위 공식을 활용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정확하고 빠르게 세금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정확한 세금 계산
    • 세금 납부 계획 수립 가능
    • 세법 변경 자동 반영
    • 소득세 부담 최소화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2025년 기준)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 대상자 및 신청 방법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낮은 근로자, 사업자, 종교인을 지원하는 제도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최대 3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매년 국세청에서 신청을 받아 심사 후 지급하며, 지급 금액은

    goonatriptokreuz.kfirst1140.com

     

     

     

     

     

     

     

     

     

    1️⃣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자

     

    • 일용직, 프리랜서, 아르바이트 등 근로소득이 있는 자
    •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18세 미만)가 있는 경우 (단독가구도 가능)
    •  거주자 요건 충족 (대한민국 거주자)

     

     

     

     


    2️⃣ 소득 요건

     

    근로장려금 신청을 위해서는 가구 유형별로 연간 총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가구 유형  총소득 기준 (2025년 기준)
    단독 가구 4,400만 원 이하
    홑벌이 가구 7,500만 원 이하
    맞벌이 가구 8,600만 원 이하

     

     

    📌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은 '근로소득'으로 인정되며, 위 기준을 초과하면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3️⃣ 재산 요건

     

    •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재산이 2억 4천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 재산에는 주택, 자동차, 토지, 예금 등이 포함됩니다.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정기 신청)
    ✅ 신청 방법:

    • 국세청 홈택스 (PC/모바일)
    • 세무서 방문 신청
    • ARS 전화 신청 (1544-9944)

     

    ✅ 신청 후 심사 과정을 거쳐 9월경에 지급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일용직도 근로장려금 신청할 수 있나요?

    네! 일용직 근로자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소득 및 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Q2. 소득 기준 초과 시 일부라도 받을 수 있나요?

    총소득이 기준을 초과하면 받을 수 없습니다.

     

     

    Q3. 근로장려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정기 신청의 경우 9월경 지급되며, 반기 신청은 6월과 12월에 나누어 지급됩니다.

     

     

    Q4. 근로장려금은 반드시 신청해야 받을 수 있나요?

    네, 국세청에서 안내를 받아도 신청을 해야 지급됩니다.

     

     

    일용직 근로자도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으니, 소득 요건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
    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2025년 일용직 소득세 계산기